본문 바로가기
IT/IT-머신러닝(기초)

R 파이프 연산자

by onfact 2022. 2. 26.

R파이프 연산자란 

순차적 표현에 유용하다. 

 

 

hopping(뛰기), scooping(땅파기), bopping(춤) 

foo_foo <- little_bunney() 

(little_bunny가 Foo Foo라는 객체라고 정의)

 

foo가 hopping, scooping, bopping 을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됨. 

이럴때 사용하는 파이프 함수

 

만약 하나씩 함수를 적용하고 결과를 새로운 객체로 저장한다면 

아래 처럼 불편하다. 또한

많은 변수 선언으로 데이터 용량이 커지고, 각 객체의 차이점 파악이 어렵다. ( 가독성이 떨어진다 ) 

아니면 함수를 작성할 수 있다

개발자 입장에선 이게 더 나을 수 있겠다만...

 

파이프를 써보자

파이프를 쓰면 어떻게 보면 직관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.

파이프 사용이 좋지 않은 케이스도 참고하자

'IT > IT-머신러닝(기초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장바구니 분석  (0) 2022.02.26
로지스틱 회귀분석  (0) 2022.02.26
의사결정 나무(Decision Tree)  (0) 2022.02.23
A/B테스트 - 선호도 조사  (0) 2022.02.21
군집화-부분집합  (0) 2022.02.16